1920년대 전라북도,
▲ 정겨운 모습 ⓒ 국립전주박물관
▲ 일상의 정경 ⓒ 국립전주박물관 전주 박물관이 일제 강점기 때(1926~1929)의 전라북도 도정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발견, 공개하였다. 국립 전주박물관이 올 10월 개최 예정인 ‘정읍의 역사와 문화(가칭)’ 전시 준비를 위한 자료 조사 중에 발견한 것이다. 일본 도쿄 소재 학습원 대학 동양문화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는 우방 문고에서 찾아낸 자료라고 한다. ▲ 고운 여인 ⓒ 국립전주박물관 이번에 찾은 자료는 매우 사실적이라고 한다. 특히 활자화 된 것이 아닌, 먹지를 대고 필사하였거나 철필로 등사원지를 긁어 수동등사기로 줄판 인쇄한 것이어서 희귀성이 인정된다고 한다. 일본이 패전 후 중요자료를 모두 소각 처분하였기에 그 가치는 높다고 한다. ▲ 축사 ⓒ 국립전주박물관 <대정 15년(1926) 3월 관내상황(전북고등경무관)> <보천교 일반(전라북도)> 등 와타나베 시노부 문서와 <조선사회 경제사진집>의 겐쇼 에이스케의 자료 그리고 <전라북도 도세 일반> <전라북도 요람> 등 전라북도 안내 책자 및 기타 자료로 분류되고 있다. 모두 1920년대 전라북도를 알 수 있는 자료들이다 ▲ 그리움이 묻어나고 ⓒ 국립전주박물관 역사의 기록이 소중한 것은 거기에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방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자료들이 왜 우리나라에 있지 못하고 일본에 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가 왜 나라를 빼앗겼는가를 심도 있게 분석해보아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내일은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궁리할 때이다. ▲ 놀이도 하고 ⓒ 국립전주박물관 아픈 역사를 통해 다시는 그런 슬픔을 되풀이이 해서는 안 된다. 전라북도의 아픈 역사라고 해서 경시해서도 안 된다. 그 것도 분명 우리의 것임을 인식하고 철저한 반성을 통해서 자기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극이 되풀이 되지 않는다고 장담하기 어렵다. 일본은 아직도 반성하지 못하고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있다. 감정적인 행동만을 앞세워서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이번에 찾아낸 자료들을 통해서 새로운 마음을 다질 필요가 있다. 우리가 깨어 있고 우리가 하나로 단경이 된다면 감히 우리를 넘볼 수 없게 된다. 이는 역사가 말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 모두 깨어 있어야 할 때이다.<春城> ![]() |
'그때 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희귀자료 모음 (0) | 2017.10.06 |
---|---|
그때 오뚜기 홍수환 (0) | 2017.10.05 |
희귀 사진들 (6 25 당시 전투기) (0) | 2017.09.29 |
옛추억 그시절 1 (0) | 2017.09.28 |
역사의 한 장면들 (0) | 2017.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