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p>
▷ <_strong>2005년 10월 18일<_span> <_p> 대구지하철 2호선 개통<_p> 8년9개월 동안의 대역사(大役事) 끝에 대구지하철 2호선이 18일 오후 2시 개통됐다.<_p> 1997년 1월 착공됐다. 당초 개통을 2002년으로 잡았으나 IMF사태로 사업기간이 3년 연장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총사업비는 2조3330억원.총길이는 29㎞다. 달성군 다사읍 문양역에서 수성구 고산동 사월역까지 정거장은 모두 26개. 이중 7곳은 상행과 하행을 별도로 이용해야 하는 ‘상대식’이고, 나머지 19개는 승강장 가운데서 상·하행 동시에 이용이 가능한 ‘섬식’이다. 1호선은 안심역만 섬식 정거장이었다. 또 반월당역은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중심역이 된다.<_p> 주행시간은 문양에서 사월까지 49분. 50분 30초 걸리는 1호선(길이 28.3㎞)과 함께 시내 교통망을 빠르게 할 전망이다.2호선에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위한 시설이 1호선에 비해 크게 보강됐다. 26개 전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가 모두 69대나 설치돼 있다. 장애인 전용 화장실도 43곳. 에스컬레이터도 208대 설치돼 이동성과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전동차에는 휠체어 장애인 전용 공간이 3곳 있고, 전동차의 출입문 턱도 휠체어 통행을 위해 거의 없앴다.<_p> 여성화장실의 경우 변기 수를 남성화장실의 변기 수와 동일하거나 많게 설치했다. 유아용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이 별도로 갖추어져 있고, 그 안에는 기저귀를 갈아줄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까지 있다. 버튼을 누르면 물이 흐르는 소리가 나는 에티켓벨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응급상황에 대비한 비상호출기도 설치됐다.오전 5시30분부터 밤 12시까지 운행된다. 오전 7시20분부터 8시40분까지, 오후 6시10분부터 8시40분까지의 출퇴근 시간은 5분 간격이며, 그 외의 시간은 7~10분 간격이다. 이용요금은 10㎞까지는 800원, 10㎞를 초과하는 구간은 900원, 13세 미만 어린이는 절반 할인된다. 장애인, 국가유공자, 65세 이상 경로우대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부모와 같이 이용하는 만 6세 미만의 어린이는 2명까지, 장애인(장애등급 1~3급)의 동반자 1인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_p>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일반인은 10%, 중·고생은 20%의 할인 혜택이 있으며, 대학생은 일반용 교통카드를 구입해 지하철역이나 버스승강장 교통카드 충전소에서 대학생용으로 사용자 신분을 변경하면 20%의 할인 가능하다.<_p> 반월당역 등 3곳에는 대규모 지하공간이 개발돼 쇼핑센터로 활용된다.또 용산·범어·대공원역 등 3곳에는 ‘떠 오르는 태양’ ‘범어의 사계’ ‘도약과 전진을 위한 여명’ 등 대구시민의 염원과 희망을 담은 조형물이 각각 설치돼 있다. 26개 정거장 어디에서도 문화행사가 가능한 것도 특징.대구지하철건설본부 한동수(韓東洙) 본부장은 “앞으로 시민들이 애용할 수 있도록 더욱 좋은 지하철을 가꿔나가겠다”고 말했다.<_p><_div> <_p><_dd>
<_p>
<_p>
<_p><_caption> 총 48<_cite>건<_p>
<_p>
<_p><_th><_tr><_thead>2005년<_td> 한국·루마니아 확대정상회담(서울)<_td><_tr> 2005년<_td>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10월 20일 일요일 (0)
2019.10.18
[오늘의 역사] 10월 19일 토요일 (0)
2019.10.18
[오늘의 역사] 10월 17일 목요일 (0)
2019.10.17
[오늘의 역사] 10월 16일 수요일 (0)
2019.10.17
[오늘의 역사] 10월 15일 화요일 (0)
2019.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