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역사)1월 30일(음력 1월 6일) 壬申 목요일

해피y 2020. 1. 29. 21:09

^빨간명찰^<_p>

▷ <_strong>1945년 1월 30일<_span> <_p>

독일 초호화 여객선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소련 해군 잠수함에 격침<_p>

독일 초호화 여객선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소련 해군 잠수함에 격침<_p>

빌헬름 구스틀로프호.<_dt>


<_p>

1945년 1월 30일 아침 동프러시안 가드니아. 초대형 유람선이 자신의 운명을 알지 못한 채 유유히 항구를 빠져나가고 있었다. 그날 밤 발트해 한복판에 있었던 유람선이 갑자기 바다 밑으로 가라앉기 시작했다.<_p>


<_p>

1937년 5월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진수식이 열렸다. 나치 독일은 국민들의 심신 단련과 휴양을 목적으로 이 배를 제작했는데 당시 폭스바겐의 비틀 자동차, 국민 라디오와 함께 나치 선전도구로 이용되었다.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안락하고 쾌적한 해외여행을 위한 각종 운동시설, 대형수영장 등 다양한 위락시설들이 마련되어 있어 배 안에는 연일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질 않았다. 그러나 1929년 9월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더이상 출항 할 수 없게 되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가 발트해에 다시 그 모습을 드러냈을 때, 배 안에서는 신음소리와 절규만이 가득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가 부상병을 나르는 병원선으로 그 목적이 달라졌기 때문이었다.<_p>


<_p>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독일군의 패색이 짙어졌고, 그동안 독일군의 만행에 시달렸던 소련군은 군인들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민간인들까지 학살했다. 이에 독일의 칼 되니츠 총통은 부상병과 민간인 200만명을 독일 서부의 안전한 곳에 이주시키기 위한 ‘한니발 작전’을 명령했고 당시 여객선이나 화물선, 군함 등 모든 종류의 배가 이 작전에 총동원되었다.<_p>


<_p>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도 피난민 구출작전에 투입되었다. 전쟁의 공포에 떨었던 피난민들에게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자신들의 목숨을 지켜줄 마지막 희망이자 구원의 배였다. 당시 승무원이었던 하인츠 쉰의 증언에 따르면 총 승객은 10,582명이었고, 그 중 8,956명이 피난민이었으며, 대부분이 여성과 아이들이었다.<_p>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에는 총 4명의 함장이 타고 있었는데, 당시 최고 연장자였던 프리드리히 패터슨의 의견에 따라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발트해의 깊은 바다를 항로로 삼았고, 항해등을 켠 채 운항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항해등을 켠 채로 달린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어두운 밤에도 너무 쉽게 눈에 띄였고 결국 출항한지 하루도 못되어 소련 잠수함 S-13호에 의해 발견되었다. S-13호는 4발의 어뢰를 발사시켰고 그 중 3발이 명중했다. 어뢰를 맞은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아비규환이 되었고 어뢰 공격을 당한 후 1시간 10여분 만에 침몰했다. 배에 타고있던 피난민들은 어뢰에 직접적인 충격으로 사망하거나 발트의 차가운 바닷물에 빠져 저체온증으로 목숨을 잃고 말았다.<_p>

그렇게 100,000여명이 넘는 피난민 중 9,343명이 목숨을 잃었고, 이는 최대 해상사고로 알려진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의 사망자보다 무려 6배나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비극은 침묵 속에 묻히고 말았다.<_p>

그리고 사고 발생 57년 후인 2002년 독일의 대표작가 귄터 그라스의 ‘게걸음으로 가다’가 발표되면서 그동안 금기시 되어오던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사건이 세상에 공개되었다. 이 소실이 아니었다면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침몰 사건은 영원히 수장되었을 수도 있었던 것이었다.<_p>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안타깝게 죽어갔던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피난민들은 지금도 그 비극을 간직한 채 북위 55도 7분, 동경 17도 41분, 수심 60m 해역에 조용히 잠들어 있다.<_p>

<_font><_font><_p>

<_colgroup>


<_p>


<_p>


<_p><_caption>

그해,오늘무슨일이55<_cite>건<_p>


<_p><_th><_tr><_thead>

2011년<_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