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p>
▷<_strong>2010년 3월 26일<_span> <_p> 해군 초계함 천안함, 서해상에서 침몰<_p> <_p>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20분쯤 서해 백령도 남쪽 해상에서 경비 활동 중이던 해군 제2함대사령부 소속 초계함 천안함(1200t급)이 폭발사고로 침몰했다. 합동참모본부 정보작전처장 이기식 해군준장에 따르면 함정의 선저(바닥)가 원인 미상으로 파공되어 침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해군 역사상 초계함급 이상 대형 전투함이 폭발로 침몰한 것은 처음이다. 침몰 직후 부터 다음 날인 27일 새벽까지 구조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승조원 104명 중 58명만 구조되고 46명은 실종자로 확인됐다. <_p> 이후 함수와 함미가 분리되어 각각 해저에 가라앉은 천안함의 실종자 구조, 수색작업은 해군 해난구조대(SSU)잠수사와 해국특수전여단 수중폭발팀(UDT)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작업 10여일 만인 4월 3일 추가 생존자 없이 실종자 가족의 요청에 의해 중단됐다. 이 과정에서 UDT 소속의 한준호 준위가 3월 30일 함수 부분 탐색 도중 실신해 순직했으며 수색 작업에 참여했던 저인망 어선 금양 98호가 4월 2일 옹진군 대청도 인근해서 침몰했다. <_p> 이후 4월 4일 선체 인양 작업을 시작한 군은 4월 15일 함미를 인양하고 36명의 시신을 수습했으며 24일에는 함수를 인양했다.(그외 수색 및 인양 작업에서 4명의 시신을 추가로 수습했으며 이외 실종 6명의 시신은 결국 수습하지 못했다.) 천안함의 46용사 유가족은 4월 30일 오후 백령도 침몰해역에서 합동 해상위령제를 지냈다.<_p> 천안함의 폭발 원인은 내부의 원인미상 폭발과 외부의 고의폭발, 두가지가 제기됐지만 침몰 초기부터 5월 20일 민군합동조사단의 공식발표가 나올 때까지 논란이 계속됐다. 민군합동조사단의 발표에 따르면 천안함은 어뢰에 의한 수중 폭발로 발생한 충격파와 버블효과에 의해 절단, 침몰했고 폭발 위치는 가스터빈실, 무기체계는 북한의 고성능 폭약 250kg 규모의 어뢰인 것으로 전해졌다. 2010년 9월 13일 최종 ‘합동 조사결과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_p> 천안함은 해군 평택 2함대사령부 소속 PCC(Patrol Combat Corve tte)-772 초계함(哨戒艦)으로 만재 시 배수량이 1200t급이다. 1989년 취역했으며, 해상에서 적 습격에 대비하여 경계하는 군함이다. 1999년에 발생한 1차 연평해전 때 참전하기도 했다.<_p> <_font><_font><_p> 총 52<_cite>건<_p>
<_p>
<_p>
<_p>
<_p>
<_p>
<_p>
<_p>
<_p><_caption>
<_p><_th><_tr><_thead>2012년<_td>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역사)3월 28일(음력 3월 5일) 庚午 토요일 (0)
2020.03.27
(오늘의역사)27일(음력 3월 4일) 己巳 금요일 서해수호의 날 (0)
2020.03.26
(오늘의역사) 3월 25일(음력 3월 2일) 丁卯 수요일 (0)
2020.03.24
(오늘의역사)3월 24일(음력 3월 1일) 丙寅 화요일 결핵예방의 날 (0)
2020.03.23
(오늘의역사)3월 23일(음력 2월 29일) 乙丑 월요일 (0)
2020.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