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p>
<_p>
▷<_span>1998년 5월 14일<_span> <_span><_strong><_p> 한글판 조선왕조실록 발견<_span><_strong><_span><_p> 한글로 된 조선왕조실록이 있었다. 제작연도는 구한말 때인 1908년 경, 대한제국 황실이 ‘왕조 정사’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국어학자료팀 이광호 박사는 1998년 5월 14일 조선조 시대 최고의 사료인 ‘조선왕조실록’ (국보 151호) 중 현종(18대)에서 철종(25대)에 이르는 기사를 발췌해 한글로 번역한 ‘실록초본’을 서고에서 발굴, 공개했다.<_span><_strong><_span><_p> 이번에 공개된 조선왕조실록은 가로 23.4cm 세로 34.4cm, 총 1백37장 규모에 다섯개의 구멍을 뚫어 명주실로 제책한 ‘실록초본’이 1908년 국왕을 위해 편찬된 왕실역사서 ‘국조보감’과 짝을 이뤄 왕실 내 여성과 아동을 위해 만든 한글판 ‘국조보감’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글씨는 남성의 필체로 짐작되는 단정한 해서체다. 내용은 인명만 한자이고 나머지는 순한글이며 왕의 등극 사망 왕세자책봉 종묘사직제사 정치사건 등 국왕의 재위 당시 주요 사건들을 편년체로 서술하는 형식으로 돼있다.<_span><_strong><_span><_p> 남한에서 ‘조선왕조실록’은 1968년부터 1993년까지 26년에 걸쳐 민간단체인 민족문화추진회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 의해 국역완간됐으며, 북한에서는 1972년부터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실 주도로 시작돼 1991년 완간됐다. 남한판 실록은 주석과 색인이 충실한 반면 번역이 연구용이라는 지적을 받은 데 비해 북한판 실록은 순한글로 번역해 대중들도 쉽게 읽을 수 있게 번역했지만 학술적 이용에는 문제가 많다는 평을 듣고 있다.<_span><_strong><_span><_p><_font> <_span><_strong><_span><_font><_font><_p> 총 <_span>49<_span><_cite>건<_span><_p> <_span><_p><_th><_tr><_thead>
<_font><_p>
<_p>
<_strong><_p>
<_span><_strong><_span><_p>
<_strong><_p>
<_strong><_p>
<_span><_strong><_span><_p>
<_span><_strong><_span><_p>
<_span><_strong><_span><_p><_caption>2015년<_span><_strong><_span><_td>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역사)5월 16일(음력 4월 24일) 己未 토요일 (0)
2020.05.15
(오늘의역사)5월 15일(음력 4월 23일) 戊午 금요일 스승의 날 (0)
2020.05.14
(오늘의역사)5월 13일(음력 4월 21일) 丙辰 수요일 (0)
2020.05.12
(오늘의역사)5월 12일(음력 4월 20일) 乙卯 화요일 (0)
2020.05.11
(오늘의역사)5월 11일(음력 4월 19일) 甲寅 월요일 (0)
202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