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5월 19일
주한미군 ‘고엽제 매립’ 논란
고엽제 매몰 의혹이 제기된 경북 칠곡군 왜관읍의 미군기지 ‘캠프 캐럴’ 내 지하수에서 발암물질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사염화에틸렌)이 수질 기준을 약 49배 초과해서 검출됐다. 특히 이 지하수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수백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기지 바깥의 지하수 관정에서도 PCE가 검출돼 주민들이 그동안 오염된 지하수를 마셨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고엽제에 포함된 다이옥신 성분은 지하수와 토양·하천퇴적토 등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캠프 캐럴 기지 환경오염 여부를 조사해온 한·미 공동 조사단은 5일 “기지 내부의 지하수 관정 22개소와 기지 바깥의 토양(22개 지점)과 하천퇴적토(5개 지점)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고엽제에 불순물로 포함돼 있는 다이옥신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그러나 조사 대상 지하수 관정 22곳 가운데 14곳(64%)에서 발암 및 신경·생식계 독성 등을 일으키는 PCE가 기준치의 최고 49.7배 검출됐고, PCE와 비슷한 작용을 하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도 22곳 중 12곳(55%)에서 수질 기준의 최고 24.8배 농도로 검출됐다.
총 61건 | |
---|---|
2009년 | 영국 하원의장 마이클 마틴 중도사퇴 성명서 발표 |
2007년 | 자이툰부대 장교 1명 총기 사망 |
2007년 | 연기자 겸 가수 하리수 결혼 |
2004년 | 중국 상하이 중의약대에 `허준 동상` 건립 |
2001년 | 종묘제례, 제례악 유네스코 유산 선정 |
2000년 | 박경완, 한국프로야구사상 첫 4연타석 홈런 |
1999년 | 한국축구 100년사를 모은 `축구박물관` 개관 |
1998년 | 이탈리아 국립현대미술관 고흐-세잔 그림 3점 도난 |
1997년 | 제1회 LG배 세계기왕전 - 이창호구단 우승 |
1997년 | 국민회의, 김대중총재를 대통령후보로 선출 |
1995년 | 신행주대교 재개통 |
1994년 | 아프리카 말라위, 카무주 반다 대통령의 30년 독재 마감 |
1993년 | 한국-마다르스카르 국교 수립 |
1992년 | 민속의학자 김일훈씨 별세 |
1992년 | 김영삼 민자당 대표최고위원, 14대 대통령후보로 선출 |
1988년 | 월스트리트 저널지, 노드롭 스캔들 폭로 |
1976년 | 한국-파푸아뉴기니 국교 수립 |
1974년 | 지스카르 데스탱 20대 프랑스 대통령에 당선 |
1973년 | 서독-소련 3개(경제, 문화, 항공)협정 체결 |
1970년 | 국제노동기구(ILO)가 빈곤백서를 발표, 세계인구의 15퍼센트가 영양실조로 고통 |
1967년 | 유엔(UN) 특별위 나미비아(서아프리카)의 신탁통치 결의 |
1967년 | 소련 대기권 핵무기 금지조약 비준 |
1966년 | 박맹호, 민음사 설립 |
1962년 | 독일 화가 뮌터 사망 |
1961년 | 남북협상 주장한 혁신계 ‘민족일보’ 폐간 |
1961년 | 윤보선 대통령 하야 성명 발표, 다음날 번복 |
1961년 | 혁명위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 |
1960년 | 미국-일본 신안보조약 신행정협정 중의원서 자민당 단독승인 |
1958년 | 미국-캐나다 북미방공사령부(NORAD) 설치 |
1957년 | 제1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
1957년 | 발명의 날 제정 |
1955년 | 국회 태창산업 특별융자조사위원회 보고 |
1954년 | 미국-파키스탄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
1952년 | 원내 자유당, 개헌문제로 합동파, 잔류파로 분열 |
1950년 | 제2회 총선에 의한 국회 개원, 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장택상, 조봉암 |
1941년 | 베트민(베트남 독립동맹) 결성 |
1935년 | 아랍 독립운동 도운 영국 탐험가 토머스 로렌스 사망 |
1930년 | 남아연방서 백인여성에 참정권 |
1925년 | 이탈리아 프리메이슨등 비밀결사 금지 |
1925년 | 제네바서 제7회 국제노동회의 개막 |
1925년 | 말콤 X 출생 - 1960년대초 흑인의 자부심과 블랙내셔널리즘을 주장한 흑인 민권운동지도자 |
1924년 | 참의부 의용군 압록강 연안의 국경을 순시중인 총독 제등실의 배 습격 |
1922년 | 손병희 선생 사망 |
1921년 | 미국 이민제한법 제정 |
1919년 | 북경대학생연합회 맹분선언, 일화배척운동 전개 |
1910년 | 핼리혜성 75년 만에 지구에 접근 |
1909년 | 디아길레프가 이끄는 러시아발레단이 프랑스 파리 샤트레극장에서 공연 |
1906년 | 민종직의 홍주의병 홍주성점령 |
1903년 | 스웨덴의 시인 스노일스퀴 사망 |
1902년 | 정약용의 목민심서, 광문사(廣文社)에서 신식활자로 간행 |
1898년 | 영국의 정치가 윌리엄 글래드스턴 사망 |
1897년 | 국어학자 정인승 출생 |
1891년 | 시베리아 횡단 철도 착공 |
1890년 | 호지명 초대 베트남 대통령 출생 |
1881년 | 최초의 신식군대 별기군 창설 |
1879년 | 원산 개항을 허가 |
1864년 | `주홍글씨`로 유명한 미국의 소설가 호손 사망 |
1845년 | 영국 항해가 탐험가 존 프랭클린 북극 북서항로 출발 |
1798년 | 나폴레옹, 이집트 원정 |
1762년 | 독일 철학자 피리테 출생 |
1442년 | 세종대왕 측우기 발명 |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역사)5월 21일(음력 4월 29일) 甲子 목요일 부부의 날 (0) | 2020.05.20 |
---|---|
(오늘의역사) 5월 20일(음력 4월 28일) 癸亥 수요일 소만 (0) | 2020.05.19 |
(오늘의역사)5월 18일(음력 4월 26일) 辛酉 월요일 성년의 날/광주민주화운동 40주. (0) | 2020.05.17 |
(오늘의역사)5월 17일(음력 4월 25일) 庚申 일요일 (0) | 2020.05.15 |
(오늘의역사)5월 16일(음력 4월 24일) 己未 토요일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