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12월 7일 토요일

해피y 2019. 12. 6. 22:52

^빨간명찰^<_p>

▷<_strong>1999년 12월 7일<_span> <_p>

국내서 에이즈 치료 백신 개발 성공<_p>

국내서 에이즈 치료 백신 개발 성공<_p>

에이즈 바이러스 HIV.<_dt>


<_p>

국내 연구진이 에이즈(AIDS)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DNA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_p>

이 DNA 백신은 에이즈 바이러스 중 병을 일으키지 않는 무해한 유전자를 인체에 주입해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항 에이즈 백신이 만들어지도록 만든 것이다.<_p>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성영철(43) 교수팀은 7일 “이 백신법을 원숭이에 적용한 결과,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며 “앞으로 6개월 이내에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_p>

연구팀은 DNA 백신을 생쥐 실험을 거쳐 2년 전부터 독일 영장류동물센터(DPZ)에 의뢰해 11마리의 원숭이를 4개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했다.<_p>

이 중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그룹과, 기존의 2종류 DNA 백신을 투여한 원숭이 그룹들은 에이즈 바이러스를 주입하자 모두 감염됐다.<_p>

반면 성 교수팀의 DNA 백신을 맞은 그룹은 보통 에이즈 실험 때보다 10배나 많은 에이즈 바이러스를 투입했으나, 4∼20주 사이에 에이즈 바이러스를 모두 퇴치하고 면역기능 지표인 CD4 T임파구가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연구팀은 밝혔다.<_p>

성 교수팀은 사람에 대한 임상실험과 함께 제넥신, 동아제약 등 국내 제약사와 공동으로 실용화 연구와 차세대 에이즈 DNA 백신 벡터(운반체)를 개발할 계획이다.<_p>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10여년 전부터 에이즈 백신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해 왔으나 아직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_p>

DNA 백신을 포함해 사 백신, 약독화 생 백신, 아단위 백신,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등이 개발됐으나 균을 약화시켜 주입하는 약독화 생 백신을 제외하고는 독성으로 인해 모두 실패했다.<_p>

원숭이 실험에서 성공한 약독화 생 백신도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DNA 백신의 임상은 일반 화학물질과 같이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곧바로 실용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_p>


<_p>


<_p>

<_font><_font><_p>

<_colgroup>


<_p><_caption>

그해,오늘무슨일이51<_cite>건<_p>


<_p><_th><_tr><_thead>

2009년<_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