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p>
<_p>
▷ <_strong>1964년 2월 29일<_span> <_p> 신성일 주연 ‘맨발의 청춘’ 공전의 히트<_p> 한국 영화사에서 주연을 가장 많이 한 배우는 두말할 것 없이 신성일(1937~)과 김지미(1940~)이다. 좀처럼 깨지지 않을 대기록의 주인공 김지미는 1957년 10월에 개봉된 김기영 감독의 ‘황혼열차’를 통해 영화계에 데뷔한 이래 800여 편의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 신성일은 1960년 데뷔한 이래 그가 출연한 530여 편의 영화 중 506편의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 신성일은 당대의 잘나가는 여배우 118명과 영화에 출연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전성기 때는 한 해 65편의 영화에 출연한 적도 있었고 하루에 8편의 영화를 찍었던 적도 있었다.<_p> 신성일의 데뷔작은 1960년 1월 28일에 개봉한 ‘로맨스 빠빠’다. 신상옥 감독이 연출·제작을 하고 김진규와 최은희, 허장강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했다.<_p> 무명의 신성일을 일약 스타로 만들어준 영화는 1962년 11월 9일에 개봉한 ‘아낌없이 주련다’(감독 유현목)였다. 연상의 여인과 젊은이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그린 ‘아낌없이 주련다’에 출연하기 전까지 신성일은 그저 잘생긴 신인배우에 불과했다.<_p> 이후 ‘가정교사’(1963), ‘청춘교실’(1963) 등에 출연하던 신성일이 전성기를 맞은 것은 1964년이었다. 그해 2월 29일 아카데미극장에서 개봉한 ‘맨발의 청춘’(감독 김기덕)이 그 시작이었다. 당대 최고의 스타 신성일과 엄앵란이 주연한 이 영화 후 신성일은 1960년대 부동의 청춘스타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영화사적으로는 한국 영화 ‘대박 행진’의 시작이기도 했다.<_p> 밀수조직 행동책 두수(신성일)가 부잣집 여대생(엄앵란)과 사랑하게 되지만 신분이 다른 남녀의 사랑을 용납하지 않는 사회의 두터운 벽을 뚫지 못하고 함께 자살한다는 내용의 영화는 전망 없는 사회를 살아가던 그 시대 관객의 갑갑한 마음에 엄청난 공명을 일으켰다. 가난했던 청춘들은 부잣집 딸과 뒷골목 주먹의 못 이룰 사랑과 죽음의 비련에 울음을 삼켰다.<_p> 영화는 단 18일 동안만 찍었는데도 연일 매진 기록을 세워 서울에서만 21만 명의 관객을 끌어모았다. 당시 서울 인구 350만 명에 상영관도 단 한 곳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광복 이후 한국 영화가 사회적 반향을 불러일으킨 최초의 ‘사건’이었다.<_p><_font> <_font><_font><_p>
<_p><_p>
<_p>
<_p>
<_p>
<_p><_caption> 총 17<_cite>건<_p>
<_p><_th><_tr><_thead>2004년<_td>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역사)3월 2일(음력 2월 8일) 甲辰 월요일 (0)
2020.03.01
(오늘의역사)3월 1일(음력 2월7일) 癸卯 일요일 삼일절 (0)
2020.02.28
(오늘의역사)2월 28일(음력 2월 5일) 辛丑 금요일 (0)
2020.02.28
(오늘의역사)2월 27일(음력 2월 4일) 庚子 목요일 (0)
2020.02.27
(오늘의역사)2월 26일(음력 2월 3일) 己亥 수요일 (0)
202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