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역사)2019년9월6일

해피y 2019. 9. 7. 13:52

▷ 2001년 9월 6일

IPI-WAN, 한국을 언론탄압 감시국에 선정

IPI-WAN, 한국을 언론탄압 감시국에 선정▷ 2001년 9월 6일


요한 프리츠 IPI 사무총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로저 파킨슨 WAN 회장(오른쪽에서 세 번째) 등이 6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한국 언론상황에 대한 입장과 조사결과를 밝히고 있다.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로는 처음으로 ‘IPI 언론자유탄압 감시대상국(Watch List)’으로 선정됐다.

언론사 세무조사와 일부 신문사 대주주 구속과 관련, 한국 언론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내한한 국제언론인협회(IPI)·세계신문협회(WAN) 합동조사단은 6일 서울 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만장일치로 이같이 결정했다”며, “언론사 세무조사와 신문사 대주주 구속은 한국언론 문제의 시작에 불과하며, 한국 정부는 언론개혁 법안을 통해 신문사 소유 지분을 제한, 경영권 박탈을 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현재 IPI 워치 리스트에는 러시아, 스리랑카, 베네수엘라가 올라가 있다.

요한 프리츠 IPI 사무총장은 “IPI 워치 리스트에는 겉으로는 개방된 것으로 보이지만, 속으로는 언론자유가 억압당하고 있는 국가를 올린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노르웨이·스웨덴·핀란드·덴마크·아이슬란드 등 북유럽 5개국 140여명의 언론회원들로 구성된 ‘IPI노르딕위원회’(위원장 미하엘 에렌라이히·덴마크 IPI위원회)도 이날 결의문을 공개하고, 한국 내 언론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IPI이사회가 국제 언론들에 한국 내 언론상황의 진행상황을 더 깊이 주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한국을 IPI 언론탄압 감시대상국에 포함시키는 것을 만장일치로 찬성한다”며, “(한국의) 3개 신문 사주들이 공식재판 없이 보석허가도 받지 못한 채 구속된 것에 대해 특별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프리츠 IPI 사무총장과 로저 파킨슨 세계신문협회 회장 등은 6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와 오홍근 국정홍보처장 등을 차례로 면담했다.




그해,오늘무슨일이54



2010년소설가 겸 언론인 김성한씨 별세
2009년한국, 제40회 국제기능올림픽 종합우승
2009년임진강 야영객 6명 실종
2001년머리카락 굵기의 25만분의1인 극초미세 나노선(線) 국내개발
2001년한국화가 황창배 별세
2000년오가타 사다코 유엔 난민고등판무관, 제5회 서울평화상 수상
2000년사상최대의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 개막(~9.8)
1999년한국영화로는 12년 만에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오른 `거짓말` 베니스영화제에서 상영
1999년환경부 자연환경조사에서 국내 미기록생물 82종 첫 발견 발표
1999년한국-리비아 문화협정 체결
1998년일본의 영화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별세
1997년경주 불국사 조실 월산 스님 입적
1994년전 문교부장관 박일경씨 별세
1994년소설 `쇼군`의 작가 제임스 클라벨 사망
1994년PKO 국군의료지원단 서부사하라 파견
1991년에스토니아 독립
1991년리투아니아 독립
1991년라트비아 독립
1987년영국의 언론인 헤일리 사망
1984년전두환 대통령 방일. 한일 정상회담 - 일황(日皇), 유감의 뜻 표명
1982년아랍연맹, 모로코서 정상회담 개막 (~9.8)
1982년8차 한국-벨기에 통상장관회담 개막
1982년제37차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IMF(국제통화기금) 연차총회 개막(토론토)
1981년폴란드, 동구 첫 자유노조대회
1980년폴란드 키에레크 당제1서기 실각. 후임에 카니아 선출
1977년일본-북한, 민간어업협정 체결
1977년박동선, 로비 사건으로 미 법무부에 기소
1976년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분할관리 합의서 교환
1976년소련 빅토르 이바노비치 벨렝코 중위, MIG 25A형 신예기 몰고 일본 북해도 하코다데에 비상착륙. 미국에 망명 요청
1975년`보이스 오브 코리아` 잡지를 창간한 독립운동가 김용중 사망
1974년최두선 전(前) 총재 별세
1970년아랍게릴라, 여객기 4대 잇따라 하이재킹
1969년신민당, 박정희대통령 탄핵소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
1968년스와질란드, 영국으로부터 독립
1967년드골, 서방지도자로서는 전후 처음으로 폴란드 방문
1967년청양 구봉광산 광부 양창선씨 16일 만에 구출
1966년남아공 페르뵈르트 수상, 의회서 백인자객에 피살
1958년중부에 13년만의 폭우
1956년화가 이중섭 사망
1952년세계저작권조약(UCC) 발족
1951년한국군에 여군 창설
1945년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선포(주석 이승만)
1945년장덕수. 조병옥. 김병로씨 등 한국민주당 발기 선언
1937년일제, 수피아. 숭일 등 4개교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 처분
1926년독일, 국제연맹 가입
1923년유고슬라비아의 마지막 왕 페타르2세 출생
1914년독일군이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대패한 마른 전투 개시(-11일)
1903년동요작곡가 윤극영 출생
1899년존 헤이 선언. 미국, 열강에 청국(淸國)의 문호개방 및 기회균등을 제의
1899년천연두 예방규칙 반포
1890년한국 그리스도교와 교육계의 발전을 위해서 일생을 바친 미국의 북장로회 선교사 원하경(언더우드) 출생
1872년독일-러시아-오스트리아의 3제(帝) 베를린서 회담(3제동맹 체결)
1766년근대 물리과학의 창시자 돌턴 출생
1420년충청도, 수재(水災)로 3,560여결(結) 손실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역사)2019년9월8일  (0) 2019.09.07
(오늘의역사)2019년9월7일   (0) 2019.09.07
(오늘의역사)2019년9월5일   (0) 2019.09.04
(오늘의역사)2019년9월4일   (0) 2019.09.04
(오늘의역사)2019년9월3일   (0) 2019.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