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역사)2019년9월8일

해피y 2019. 9. 7. 13:58

^빨간명찰^<_p>

▷ <_strong>2004년 9월 8일<_span> <_p>

1909년 일본이 제작한 지도에서 ‘간도는 조선땅’ 증거 발견<_p>

1909년 일본이 제작한 지도에서 ‘간도는 조선땅’ 증거 발견<_p>

‘제9도(第九圖) 백두산 정계비 부근 수계(水系) 답사도’에 명기된 지명들.<_dt>


<_p>

일본이 간도(間島)지역을 중국에 넘겨준 ‘청·일 간도협약’의 바탕이 됐던 ‘토문강=두만강’설을 정면에서 반박하는 지도가 발견됐다.<_p>

‘토문강(土門江)’을 두만강(豆滿江)이 아닌 별개의 송화강 지류로 분명히 밝힌 이 지도는 1909년 ‘청·일 간도협약’ 당시 일본측이 만든 것으로 ‘조선과 청의 국경인 토문강은 두만강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줄곧 주장해온 중국에 대한 중요한 반박자료일 뿐 아니라 간도가 조선 땅이었음을 밝히는 결정적 자료로 주목된다.<_p>

이상태(李相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이 최근 서지학자 고 이종학(李鍾學)씨의 소장자료 중에서 찾아내 8일 공개한 이 지도는 ‘제9도(第九圖) 백두산 정계비 부근 수계(水系) 답사도’라는 제목 아래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두만강·송화강(토문강)과 그 지류의 흐름을 상세히 그려 놓은 것이다.<_p>

지도에는 ‘메이지(明治) 42년(1909년) 10월, 축척 40만분 1’이라고 제작연도와 방식을 밝히고 있다. ‘조선총독부 도서’ 직인과 ‘아홉 번째 지도’라는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일제 통감부나 군부대가 전략적인 목적으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_p>

지도는 백두산 부근에서 동북 방향으로 흐르다가 다시 북쪽으로 꺾여 송화강과 합류하는 하천에 ‘토문강’이라는 이름을 명기해 놓았고, 동쪽으로 흐르는 강에는 ‘두만강’이라 적어 토문강과 두만강이 같은 강의 다른 이름일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_p>

1712년(숙종 38년) 세워진 백두산 정계비는 ‘압록강과 토문강을 조선과 청의 경계로 삼는다’고 적었으나 ‘토문강’을 송화강의 지류로 해석한 한국과 달리 중국은 ‘토문강=두만강’설을 내세워 간도지역이 청나라 영토였다고 주장해 왔다.<_p>

<_font><_font><_p>

<_colgroup>


<_p>


<_p>


<_p><_caption>

그해,오늘무슨일이44<_cite>건<_p>


<_p>


<_p><_th><_tr><_thead>

2003년<_td>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역사)2019년9월10일   (0) 2019.09.09
(오늘의역사)2019년9월9일   (0) 2019.09.08
(오늘의역사)2019년9월7일   (0) 2019.09.07
(오늘의역사)2019년9월6일   (0) 2019.09.07
(오늘의역사)2019년9월5일   (0) 2019.09.04